본문 바로가기

금리인상4

[파이프라인] 경제공부 220913 부동산 불패신화의 몰락 작년, 집값이 연일 최고가를 기록했던 걸 기억하고 있을 것이다. 부동산 불패신화라는 말을 다시 한번 재확인한 시간이었다. 그러나 불과 일년도 되지 않아 상황이 거짓말처럼 뒤집혀지고 있다. 절대 떨어질 것 같지 않았던 아파트 가격이 내림세를 타더니, 부동산 시장이 무너질지 모른다는 공포가 퍼지고 있다. 올라도 걱정, 내려도 걱정인 집값. 도대체 어떻게 된 것일까? 부동산 "Winter is coming...." 부동산 가격은 2019년 말부터 오름세가 잦아들기 시작하더니, 올해 2월부터 떨어질 조짐이 보였다. 본격적으로 위기감이 불거진 것 바로 최근. 아파트 매매가가 17주 연속으로 떨어진 데다, 그 하락폭이 커졌기 때문이다. 수도권 아파트 매매가는 8월29일 기준 일주일 만에 0.2%가 떨어졌다. 201.. 2022. 9. 13.
[파이프라인] 경제공부 0905 금리편④ 미국금리 자이언트스텝 금리인상 FOMC 오늘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1374.7원" 도대체 어디까지 올라가려고 하는 걸까?? 이번 여름 주식 시장의 베어마켓 랠리(하락장 속에서 증시가 반등하는 모습)을 보며, 많은 사람들이 증시 회복을 기대했었다. 그런데, '제롬 파월' 연방준비제도(연준) 의장의 다음 한 마디에 증시는 꼬리를 내려버렸다. (으~~~~~~~~~~ 파월!!!!!!!!!!!!!!!!!!!!!!) 금리를 내릴 일도, 투자를 북돋을 일도 없으니 섣불리 기대하지 마라!! 이와 더불어 지난달 26일 파월 의장은 물가 안정을 강조하면서 또 한 번 '큰 폭의 금리 인상'을 언급했다. 9월20일에 열릴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에서 기준금리를 0,5%p 또는 0.75%p를 인상할 가능성이 커졌다. 전세계 증시와 환율을 출렁이게 .. 2022. 9. 5.
[파이프라인] 경제공부 220815 금리편 ② 지난 번에 이어서, 금리에 대한 공부 2번째 시간이다. 지난 시간에는 금리가 무엇인지, 그리고 금리가 우리 생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조금 알아보았다. 금리가 올랐는데 왜 내 주식은 떨어지지?? 금리가 오르는 요즘, 자산 시장이 쉽지 않다. 주식도, 부동산도 예전만 못하다. 가파르게 오르는 금리는 우리 삶에 어떤 영향을 미칠까? 오늘 다시 한번 알아보자. 지난 시간에 배운대로, 중앙은행에서는 물가를 잡기 위해서 금리를 이용한다고 알고 있다. 시장에 풀린 돈을 흡수해서 돈의 가치를 높이고 물건의 가격을 낮추는 방식으로 말이다. 중앙은행은 이렇게 금리를 높여 시장에 풀린 돈을 줄이기도 하고, 반대의 상황일 땐 돈을 찍어내기도 한다. 모두 한 나라의 경제가 침체되거나 과열되지 않도록 조정하는 것이다. 그렇다.. 2022. 8. 15.
[리뷰] 한국은행 금리 인상 주택담보대출 금리 6% 되면, 4억 대출자 월 원리금 444만원... 10년간 이자만 1.3억원!! 지난 14일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는 기준금리를 1.00% → 1.25%로 인상했다고 밝혔다. 이는 지난해 8월과 11월 올해 1월까지 총 세 차례에 걸친 인상으로 대출자들의 이자부담도 크게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특히 주택담보대출 금리는 연 6%대, 신용대출 금리는 연 5%대를 넘을 수 있다는 전망도 나왔다. (허허허~~;;;;)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0.75%포인트 인상하면서 시중은행의 주택담보대출 최고금리가 조만간 6%대에 육박할 것으로 전망된다. 저금리 시대에 빚투(빚내서 투자)와 영끌(영혼까지 끌어모음)에 나섰던 대출자들은 금리 인상으로 이자부담이 더욱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따라 부동산 가.. 2022. 1. 18.
반응형